mirror of
https://github.com/mimblewimble/grin.git
synced 2025-01-21 19:41:08 +03:00
5cb8025ddd
* cleanup legacy "3 dot" check (#2625)
* Allow to peers behind NAT to get up to preferred_max connections (#2543)
Allow to peers behind NAT to get up to preffered_max connections
If peer has only outbound connections it's mot likely behind NAT and we should not stop it from getting more outbound connections
* Reduce usage of unwrap in p2p crate (#2627)
Also change store crate a bit
* Simplify (and fix) output_pos cleanup during chain compaction (#2609)
* expose leaf pos iterator
use it for various things in txhashset when iterating over outputs
* fix
* cleanup
* rebuild output_pos index (and clear it out first) when compacting the chain
* fixup tests
* refactor to match on (output, proof) tuple
* add comments to compact() to explain what is going on.
* get rid of some boxing around the leaf_set iterator
* cleanup
* [docs] Add switch commitment documentation (#2526)
* remove references to no-longer existing switch commitment hash
(as switch commitments were removed in ca8447f3bd
and moved into the blinding factor of the Pedersen Commitment)
* some rewording (points vs curves) and fix of small formatting issues
* Add switch commitment documentation
* [docs] Documents in grin repo had translated in Korean. (#2604)
* Start to M/W intro translate in Korean
* translate in Korean
* add korean translation on intro
* table_of_content.md translate in Korean.
* table_of_content_KR.md finish translate in Korean, start to translate State_KR.md
* add state_KR.md & commit some translation in State_KR.md
* WIP stat_KR.md translation
* add build_KR.md && stratum_KR.md
* finish translate stratum_KR.md & table_of_content_KR.md
* rename intro.KR.md to intro_KR.md
* add intro_KR.md file path each language's intro.md
* add Korean translation file path to stratum.md & table_of_contents.md
* fix difference with grin/master
* Fix TxHashSet file filter for Windows. (#2641)
* Fix TxHashSet file filter for Windows.
* rustfmt
* Updating regexp
* Adding in test case
* Display the current download rate rather than the average when syncing the chain (#2633)
* When syncing the chain, calculate the displayed download speed using the current rate from the most recent iteration, rather than the average download speed from the entire syncing process.
* Replace the explicitly ignored variables in the pattern with an implicit ignore
* remove root = true from editorconfig (#2655)
* Add Medium post to intro (#2654)
Spoke to @yeastplume who agreed it makes sense to add the "Grin Transactions Explained, Step-by-Step" Medium post to intro.md
Open for suggestions on a better location.
* add a new configure item for log_max_files (#2601)
* add a new configure item for log_max_files
* rustfmt
* use a constant instead of multiple 32
* rustfmt
* Fix the build warning of deprecated trim_right_matches (#2662)
* [DOC] state.md, build.md and chain directory documents translate in Korean. (#2649)
* add md files for translation.
* start to translation fast-sync, code_structure. add file build_KR.md, states_KR.md
* add dandelion_KR.md && simulation_KR.md for Korean translation.
* add md files for translation.
* start to translation fast-sync, code_structure. add file build_KR.md, states_KR.md
* add dandelion_KR.md && simulation_KR.md for Korean translation.
* remove some useless md files for translation. this is rearrange set up translation order.
* add dot end of sentence & translate build.md in korean
* remove fast-sync_KR.md
* finish build_KR.md translation
* finish build_KR.md translation
* finish translation state_KR.md & add phrase in state.md to move other language md file
* translate blocks_and_headers.md && chain_sync.md in Korean
* add . in chain_sync.md , translation finished in doc/chain dir.
* fix some miss typos
* Api documentation fixes (#2646)
* Fix the API documentation for Chain Validate (v1/chain/validate). It was documented as a POST, but it is actually a GET request, which can be seen in its handler ChainValidationHandler
* Update the API V1 route list response to include the headers and merkleproof routes. Also clarify that for the chain/outputs route you must specify either byids or byheight to select outputs.
* refactor(ci): reorganize CI related code (#2658)
Break-down the CI related code into smaller more maintainable pieces.
* Specify grin or nanogrins in API docs where applicable (#2642)
* Set Content-Type in API client (#2680)
* Reduce number of unwraps in chain crate (#2679)
* fix: the restart of state sync doesn't work sometimes (#2687)
* let check_txhashset_needed return true on abnormal case (#2684)
* Reduce number of unwwaps in api crate (#2681)
* Reduce number of unwwaps in api crate
* Format use section
* Small QoL improvements for wallet developers (#2651)
* Small changes for wallet devs
* Move create_nonce into Keychain trait
* Replace match by map_err
* Add flag to Slate to skip fee check
* Fix secp dependency
* Remove check_fee flag in Slate
* Add Japanese edition of build.md (#2697)
* catch the panic to avoid peer thread quit early (#2686)
* catch the panic to avoid peer thread quit before taking the chance to ban
* move catch wrapper logic down into the util crate
* log the panic info
* keep txhashset.rs untouched
* remove a warning
* [DOC] dandelion.md, simulation.md ,fast-sync.md and pruning.md documents translate in Korean. (#2678)
* Show response code in API client error message (#2683)
It's hard to investigate what happens when an API client error is
printed out
* Add some better logging for get_outputs_by_id failure states (#2705)
* Switch commitment doc fixes (#2645)
Fix some typos and remove the use of parentheses in a
couple of places to make the reading flow a bit better.
* docs: update/add new README.md badges (#2708)
Replace existing badges with SVG counterparts and add a bunch of new ones.
* Update intro.md (#2702)
Add mention of censoring attack prevented by range proofs
* use sandbox folder for txhashset validation on state sync (#2685)
* use sandbox folder for txhashset validation on state sync
* rustfmt
* use temp directory as the sandbox instead actual db_root txhashset dir
* rustfmt
* move txhashset overwrite to the end of full validation
* fix travis-ci test
* rustfmt
* fix: hashset have 2 folders including txhashset and header
* rustfmt
*
(1)switch to rebuild_header_mmr instead of copy the sandbox header mmr
(2)lock txhashset when overwriting and opening and rebuild
* minor improve on sandbox_dir
* add Japanese edition of state.md (#2703)
* Attempt to fix broken TUI locale (#2713)
Can confirm that on the same machine 1.0.2 TUI looks great and is broken on
the current master. Bump of `cursive` version fixed it for me.
Fixes #2676
* clean the header folder in sandbox (#2716)
* forgot to clean the header folder in sandbox in #2685
* Reduce number of unwraps in servers crate (#2707)
It doesn't include stratum server which is sufficiently changed in 1.1
branch and adapters, which is big enough for a separate PR.
* rustfmt
* change version to beta
318 lines
24 KiB
Markdown
318 lines
24 KiB
Markdown
# MimbleWimble 과 Grin 에 대한 소개
|
|
|
|
*다른 언어로 Intro를 읽으시려면: [English](intro.md), [简体中文](intro.zh-cn.md), [Español](intro_ES.md), [Русский](intro.ru.md), [日本語](intro.jp.md).*
|
|
|
|
MimbleWimlbe은 블록체인 포맷이면서 프로토콜 입니다.
|
|
MimbleWimble은 암호학적 기반에 의해서 극대화된 좋은 확장성, 프라이버시, 그리고 대체가능성을 제공합니다. 이러한 특성은 지금 현존하는 모든 블록체인 구현체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처리합니다.
|
|
|
|
Grin 은 Mimble Wimble 블록체인을 구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입니다. 또한 완전한 블록체인와 크립토 커런시의 배포에 필요한 갭을 채워줍니다.
|
|
Grin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과 특성들은 아래 설명을 참고하십시오.
|
|
|
|
* 프라이버시가 기본으로 제공됩니다. 이 기능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정보를 공개 할 수 없도록 해서 완전한 대체가능성을 할 수 있게 합니다.
|
|
* 주로 유저의 규모와 최소한의 트랜잭션 수의 규모로 (100byte 미만의 kernel(transaction)) 다른 블록체인들과 비교하면 많은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|
|
* Mimble Wimble 은 수십년 동안 테스트하고 사용되었던 강력한 암호기술인 ECC만 사용합니다.
|
|
* 간단한 디자인은 감사와 유지보수를 시간이 지나도 수월하게 만듭니다.
|
|
* 커뮤니티가 주도하며, 채굴 탈중앙화가 권장됩니다.
|
|
|
|
## 모두의 혀를 묶자.
|
|
이 문서는 블록체인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가 있고 암호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이것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MimbleWimble의 기술적인 발전과 어떻게 Grin에 적용되었는지 관해 설명 할 것입니다.
|
|
저희는 이 문서가 대부분의 기술적인 성격을 가진 독자들을 이해시킬 수 있길 바랍니다. 우리의 목적은 독자가 Grin에 대해 흥미를 느끼게 하고 어떤 방식으로든 Grin에 기여할 수 있게 이끄는 것입니다.
|
|
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, 우리는 MimbleWimble 의 구현체인 Grin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 컨셉들에 대해서 소개할것입니다.
|
|
|
|
우선 Grin이 어디에서 부터 기초로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 타원 곡선 암호 (ECC)의 몇몇 속성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 시작하겠습니다. 그 다음, MimbleWimble 블록체인의 트랜잭션과 블록에 한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겠습니다.
|
|
|
|
### 타원곡선에 대한 조그마한 조각들
|
|
ECC의 너무 복잡한 사항을 캐지 않고 어떻게 mimble wimble 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들만 리뷰할 것입니다. 이런 가정들을 좀 더 알고싶은 독자들은 [이 링크](http://andrea.corbellini.name/2015/05/17/elliptic-curve-cryptography-a-gentle-introduction/)를 참고하세요.
|
|
|
|
암호학에서의 타원 곡선이란 우리가 _C_ 라고 부르는 단순히 아주 큰 좌표의 집합입니다.
|
|
이 좌표들은 정수들로 (인티저, 또는 스칼라 ) 더하고 빼고 곱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주어진 정수 _K_ 에 스칼라 곱셈을 한다면 우리는 곡선 _c_ 위에 있는 좌표 K*H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.
|
|
또 달리 주어진 정수 _j_ 에 우리는`k*H + j*H` 와 같은 `(k+j)*H`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타원곡선 위에서의 덧셈과 정수 곱셈은 제시된 수의 순서에 관계없이 결과가 동일하다는 성질과 덧셈과 곱셈의 계산 순서와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|
|
|
|
(k+j)*H = k*H + j*H
|
|
|
|
ECC 안에서 우리가 매우 큰 숫자인 _k_ 를 프라이빗 키로 가정할 때 `k*H` 는 해당하는 퍼블릭 키로 해당되어 집니다. 누군가 공개키인 `k*H`의 값을 알더라도 _k_ 를 추론해 내는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. ( 달리 얘기하자면, 곱셉은 쉬우나 곡선 좌표에 의한 "나눗셈"은 정말 어렵습니다. )
|
|
|
|
_k_ 와 _j_ 둘다 비밀키인 이전 공식 `(k+j)*H = k*H + j*H` 는 두개의 비밀키를 더해서 얻은 한 개의 공개키 (`(k+j)*H`) 와 각각 두개의 비밀키에 공개키를 더한것과 같습니다. Bitcoin blockchain에서도 HD 지갑은 이 원칙에 의존하고 있습니다. MimbleWimble 과 Grin의 구현또한 마찬가지 입니다.
|
|
|
|
### MimbleWimble 함께 거래하기
|
|
트랜잭션의 구조는 MimbleWimble의 강력한 프라이버시와 비밀이 유지된다라고 하는 중요한 규칙을 나타냅니다.
|
|
|
|
MimbleWimble 트랜잭션의 확인은 두가지 기본적인 성격을 전제로 합니다.
|
|
|
|
* **제로섬의 검증:** 결과값에서 입력값을 뺸 합은 항상 0과 같습니다. 이것은 실제 전송되는 코인의 양을 드러내지 않고도 트랜잭션ㅇ이 새로운 코인을 만들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합니다.
|
|
* **비밀키의 소유:** 다른 많은 크립토 커런시 들처럼 , 트랜잭션의 소유권은 ECC 비밀키에 의해 보장됩니다. 그러나 어떤 실체가 이런 비밀키들을 소유하고 있다고 증명하는것이 직접적으로 트랜잭션에 사인한다고해서 얻어지는 것은 아닙니다.
|
|
|
|
다음 섹션들에서는 잔고, 소유권, 거스름돈과 증명들의 상세들이 어떻게 저 두가지 기본적인 성질에 의해서 얻어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|
|
|
|
#### 잔고
|
|
위에서 언급한 ECC의 특성들을 기반으로 해서 트랜잭션안의 가치들을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.
|
|
만약 _v_ 가 트랜잭션 입력값이거나 출력값이고 _H_ 가 타원곡선이라면 , 단순히 _v_ 대신 `v*H`를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.
|
|
|
|
이것은 ECC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동하는 것입니다. 우리는 출력값의 합이 입력값의 합과 같다는 것을 여전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v1 + v2 = v3 => v1*H + v2*H = v3*H
|
|
|
|
이 특성을 모든 트랜잭션에 확인하는것은 프로토콜이 트랜잭션은 돈을 난데없이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실제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지 않아도 검증할 수 있게 합니다.
|
|
그러나 사용가능한 한정된 숫자가 있고 그 숫자 중 하나를 사용해서 당신의 트랜잭션이 얼마만큼의 코인을 가졌는지 추측 할 수 있습니다. 더해서, v1을 알고 ( 예시로 사용된 이전의 트랜잭션에서 온 값 ) 그에따른 `v1*H`의 결과를 알면 블록체인 전체에 걸쳐서 v1 값이 있는 모든 출력값들이 드러나게 됩니다.
|
|
|
|
이러한 이유로 두번째 타원곡선인 _G_ 를 제시합니다. ( 실제로 _G_ 는 _H_ 의 그룹과 같은 곡선에 있으며 단지 다른 좌표를 생성해 냅니다.) 그리고 비밀키 _r_ 은 *blinding factor* 로 사용됩니다.
|
|
|
|
그렇다면 트랜잭션 안의 입력값과 출력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.
|
|
|
|
r*G + v*H
|
|
|
|
여기서
|
|
|
|
* _r_ 은 비밀키이고 blinding factor 로 사용됩니다. _G_ 는 타원 곡선 이고 `r*G`는 _G_ 안에 있는 _r_ 의 공개키 입니다.
|
|
* _v_ 는 출력값이거나 입력값이고 _H_ 는 다른 타원곡선입니다.타원곡선의 근본적인 특성을 이용했기 때문에 _v_ 와 _r_ 은 추측될 수 없습니다. `r*G + v*H`를 _Pedersen Commitment_ 라고 부릅니다.
|
|
|
|
예를 들어 , ( 전송료는 무시하고) 두개의 입력값과 한개의 출력값으로 트랜잭션을 만들기 원한다고 가정해봅시다.
|
|
|
|
* vi1 과 v2 는 출력값
|
|
* vo3는 출력값 이라면
|
|
|
|
그렇다면
|
|
|
|
vi1 + vi2 = vo3
|
|
|
|
입니다.
|
|
|
|
각각의 입력값에 대해서 blining factor 로 비밀키를 만들고 각각의 값을 각각의 이전의 공식에 있던 Pederson Commitment로 교체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|
|
|
|
(ri1*G + vi1*H) + (ri2*G + vi2*H) = (ro3*G + vo3*H)
|
|
|
|
결과로 다음과 같습니다.
|
|
|
|
ri1 + ri2 = ro3
|
|
|
|
이것이 MimbleWimble의 첫번째 특징입니다.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산술적인 연산은 아무런 값을 알지 못해도 가능합니다.
|
|
|
|
이 아이디어는 Greg Maxwell 의 [Confidential Transactions](https://elementsproject.org/features/confidential-transactions/investigation) 에서 유래했습니다. Confidential transaction은 Adam back의 비트코인에 동형암호를 적용하자는 제안에서 비롯되었습니다.
|
|
|
|
#### 소유권
|
|
|
|
이전의 섹션에서 트랜잭션의 값을 보기 어렵게 하는 Blinding factor로서 비밀키를 소개했습니다. MimbleWimble 의 두번째 통찰은 비밀키가 어떤 값의 소유권을 증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|
|
|
|
Alice는 당신에게 3 코인을 보내면서 그 양을 가렸고, 당신은 28을 당신의 blinding factor로 선택했습니다. ( 실제로 blinding factor는 비밀키로 정말 무진장 큰 숫자 입니다.)
|
|
|
|
블록체인 어딘가에 다음과 같은 출력값이 나타나 있고 당신에 의해서만 소비될 수 있습니다.
|
|
|
|
X = 28*G + 3*H
|
|
|
|
_X_ 는 덧셈의 결과이면서 모두에게 다 보여집니다. 3은 당신과 Alice만 알고 있고 28은 당신만이 알고 있습니다.
|
|
|
|
다시 3코인을 보내기 위해선, 프로토콜은 어떻게든 28을 알고 있어야 됩니다. 어떻게 이것이 작동하는지 보기 위해서, 당신이 캐롤에게 같은 3코인을 보내고 싶어한다고 합시다. 그렇다면 당신은 아래와 같은 간단한 트랜잭션을 작성해야 합니다.
|
|
|
|
Xi => Y
|
|
|
|
여기서 _Xi_는 _X_ 출력을 사용하는 입력이고 Y는 Carol의 출력입니다.
|
|
당신의 비밀키인 28을 모르고서는 트랜잭션과 잔액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.
|
|
|
|
실제로 캐롤이 이 트랜잭션의 잔액을 위해선 그녀는 받는 값과 당신의 비밀키를 알아야 합니다.
|
|
|
|
그러므로
|
|
|
|
Y - Xi = (28*G + 3*H) - (28*G + 3*H) = 0*G + 0*H
|
|
|
|
입니다.
|
|
|
|
모든계산이 0으로 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, 새로운 돈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|
|
오 잠시만요! 당신은 지금 캐롤의 출력값에 비밀키가 있다는것을 알았습니다. ( 이런경우에는 당신의 잔액이 나간것과 동일 해야 합니다.) 그리고 당신은 캐롤로 부터 돈을 훔칠수 있습니다. 이걸 해결하기위해서 캐롤은 그녀가 선택한 비밀키를 사용합니다.
|
|
|
|
캐롤이 113을 비밀키로 선택했다면 블록체인 안에서는 아래와 같이 마무리 됩니다.
|
|
|
|
Y - Xi = (113*G + 3*H) - (28*G + 3*H) = 85*G + 0*H
|
|
|
|
모든 blinding factor합계 결과로 타원곡선 _G_ 위에서 트랜잭션은 _초과값_ (85) 을 가지게 되고 트랜잭션의 합은 더이상 0 이 아닙니다.
|
|
|
|
그러나 `85*G` 은 비밀키 85 와 함께 타원곡선 _G_ 에서 유효한 공개키이기 때문에 모든 x와 y는 `y = 0`가 `x*G + y*H`일때 곡선 _G_ 에서 유효한 공개키입니다.
|
|
|
|
그러므로 모든 프로토콜은 (`Y - Xi`) 가 _G_위에서 유효한 공개키인지 ,거래당사자들이 비밀키를 알고있는지 ( 캐롤과의 트랜잭션에서는 85) 를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 가장 간단하게 검증하는 방법은 Signature가 초과값과 함께 만들어졌다는 것을 요구한 다음 아래와 같은것을 인증하는 겁니다.
|
|
|
|
* 거래하는 당사자들은 모두 비밀키를 알고 있고
|
|
* 트랜잭션의 입력값을 뺀 출력값들의 합은 0입니다. ( 왜냐하면 비밀키와 매칭된 유효한 공개키만 Signature 를 체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. )
|
|
|
|
모든 트랜잭션에 포함된 이 Signature 는 덧붙여진 어떤 데이터와 함께(채굴 수수료와 같은 데이터) _transaction kernel_ 이라고 부르고 모든 Validator 에 의해 체크됩니다.
|
|
|
|
#### 몇몇 더 좋은 점들
|
|
|
|
이 섹션은 트랜잭션을 만들때 잔돈이 어떻게 보여지고 범위 증명(range proofs)의 요구사항에 대해서 모든 값이 음수가 아닌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. 이러한 개념들 역시 MimbleWimble 과 Grin 에 대한 이해가 당연히 필요합니다. 만약 당신이 조급하다면 [이 링크를 참고하세요.](#putting-it-all-together).
|
|
|
|
##### 잔돈에 대해서
|
|
|
|
캐롤에게 2개의 코인을 보내고 3개를 앨리스에게서 받는다고 해봅시다.이렇게 하려면 당신은 남은 1개의 코인을 잔돈으로 당신에게 돌려줘야 합니다. 이때, 다른 비밀키를 blinding factor 로 만들어서 (12라고 합시다.) 출력값을 보호해야 합니다. 캐롤은 이전에 썻던 그녀의 비밀키를 씁니다.
|
|
|
|
잔돈의 출력값 : 12*G + 1*H
|
|
캐롤의 출력값 : 113*G + 2*H
|
|
|
|
블록체인 안에서의 결과는 예전과 매우 흡사합니다. 그리고 Signature 은 초과되는 값과 함께 다시 만들어질겁니다. 이 예시에서는 97이라고 합시다.
|
|
|
|
(12*G + 1*H) + (113*G + 2*H) - (28*G + 3*H) = 97*G + 0*H
|
|
|
|
##### Range Proofs
|
|
|
|
위의 모든 계산에서 트랜잭션의 값들은 항상 양의(+)값입니다. 음의 값은 모든 트랜잭션마다 새로운 돈을 만들수 있다는 것이므로 매우 문제점이 될겁니다.
|
|
|
|
예를 들어 입력값이 3이고 출력값이 5과 -3인 트랜잭션을 만들수 있으며 이것은 이전 섹션의 정의에 따라 잘 구성된 트랜잭션입니다. 적절한 좌표 `x.H`가 다른 좌표처럼 곡선위에 있어서 _x_가 음수이더라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.
|
|
|
|
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, MimbleWimble 은 Range proofs 라는 다른 암호학 개념을 사용합니다. ( 이 또한 Confidential Transaction 에서 유래했습니다.)
|
|
Range proof 란 숫자를 밝히지 않고 어떤 숫자가 주어진 범위안에 있는지 증명하는 것입니다.
|
|
Range proof 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것이지만은, 그래도 어떤 `r.G + v.H` 의 결과가 _v_ 가 0보다 크고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위의 예에서 유효한 Range proof 를 만들기 위해서 트랜잭션을 만들고 Signing 할때 사용된 초과값인 113과 28 두 값이 알려지는것은 중요합니다. 그 이유에 대해선 [range proof paper](https://eprint.iacr.org/2017/1066.pdf) 안에 Range proof에 대해 좀더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.
|
|
|
|
#### 모든것을 함깨 놓고 이해하기
|
|
|
|
MimbleWimlbe 트랜잭션은 다음을 포함합니다.
|
|
|
|
* 이전의 출력값들이 참조하고 사용한 입력값의 셋트들
|
|
* 새로운 출력값들은 다음을 포함합니다.
|
|
* 곡선위에서 `r.G + v.H` 로 합해 지는 값 과 blinding factor (그냥 새로운 비밀 키).
|
|
* v 가 음수가 아님을 보여주는 Range proof.
|
|
* 분명히 명시된 트랜잭션 수수료
|
|
* 수수료가 더해진 모든 출력밧에서 입력값을 뺸 초과 blinding 값이 계산되고 그것이 비밀키로 사용된 Signature.
|
|
|
|
### 블록들과 체인 state에 대해서
|
|
|
|
위에서 MimbleWimble 트랜잭션이 유요한 블록체인에 필요한 속성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강한 익명성을 보장하는지 설명했습니다.예를 들면 트랜잭션이 더이상 코인을 만들지 않으면서 비밀키를 통해 소유권을 증명하지 않는 방법들 같은것 말이죠.
|
|
|
|
추가적으로 _cut-through_ 라는 개념이 MimbleWimble 블록 포멧에 사용 됩니다. 이로 인해 MimbleWimble 체인은 아래와 같은 장점을 얻습니다.
|
|
|
|
* 대부분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보안을 희생하지 않고서도 시간이 지나면 없어 질 수 있으므로 엄청나게 좋은 확장성을 얻게 됩니다.
|
|
* 트랜잭션 데이터를 섞고 없애서 익명성을 추가로 획득합니다.
|
|
* 새로운 노드가 네트웍에서 동기화를 이룰때 매우 효과적입니다.
|
|
|
|
#### 트랜잭션 합치기
|
|
|
|
트랜잭션은 다음와 같은것들로 이뤄져 있다는걸 상기해봅시다.
|
|
|
|
* 이전의 출력값들이 참조하고 사용한 입력값의 셋트들
|
|
* 새로운 출력값의 세트들 ( Pederson commitment)
|
|
* kernal execess와 (kernel 초과값이 공개키로 사용된) 트랜잭션 Signature로 이뤄진 트랜잭션 Kernel.
|
|
|
|
sign 된 트랜잭션과 Signature 은 _transaction kernel_ 에 포함됩니다.
|
|
Signature 공개키로서 트랜잭션의 합이 0임을 증명하는 _kernel excess_ 를 이용해서 생성됩니다.
|
|
|
|
(42*G + 1*H) + (99*G + 2*H) - (113*G + 3*H) = 28*G + 0*H
|
|
|
|
이번 예시에서 공개키는 `28*G` 입니다.
|
|
|
|
다음은 어떠한 유효한 트랜잭션에서도 참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. (단순함을 위해 수수료는 무시합니다. )
|
|
|
|
출력값의 합 - 입력값의 합 = kernel_excess
|
|
|
|
블록이 입력값과 출력값의 합 그리고 트랜잭션 kernel들의 집합이면 블록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. 트랜잭션의 출력값을 더할 수 있고 입력값의 합을 뺀다음 그 결과인 Perderson commitment 와 kernal excess와 비교합니다.
|
|
|
|
출력값의 합 - 입력값의 합 = kernel_excess의 합
|
|
|
|
약간 단순화 시켜서 ( 트랜잭션 수수료를 무시하고) 우리는 MimbleWimbl block 이 MimbleWimble 트랜잭션들로 다뤄진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##### Kernel 오프셋들
|
|
|
|
위에 설명했던겉 처럼 MimbleWimble 블록과 트랜잭션에 조그마한 문제가 있습니다. 그것은 블록에 있는 구성 트랜잭션을 재구성하는것이 가능합다는 겁니다.(그리고 어떤 사소한 경우에도요).
|
|
이것은 분명히 프라이버시에는 좋지 않습니다. 이걸 "subset" 문제 라고 합니다.
|
|
"Subset" 문제란 주어진 입력값들, 출력값들과 트랜잭션 kernel들의 Subset 들이 재조합되어서 유효한 트랜잭션을 다시 만든다는 것입니다.
|
|
|
|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두 트랜잭션이 있다고 해봅시다.
|
|
|
|
(in1, in2) -> (out1), (kern1)
|
|
(in3) -> (out2), (kern2)
|
|
|
|
다음과 같은 블록에 합칠 수 있을겁니다. ( 아니면 트랜잭션을 합쳐도 됩니다.)
|
|
|
|
(in1, in2, in3) -> (out1, out2), (kern1, kern2)
|
|
|
|
(합계가 0일경우 ) 트랜잭션들 중 하나를 복구하기 위해서 가능한 모든 순열 조합을 조합해보는것은 쉽습니다.
|
|
|
|
(in1, in2) -> (out1), (kern1)
|
|
|
|
또한 남은 트랜잭션이 다른 유효한 트랜잭션을 만드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.
|
|
|
|
(in3) -> (out2), (kern2)
|
|
|
|
이런것을 완화 시키기 위해 _kernel offset_ 이라는 것을 모든 트랜잭션 kernel 에 포함시킵니다. 실행 값이 0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kernel excess 에 더해져야 하는 blinding factor (비밀키)입니다.
|
|
|
|
출력값의 합 - 입력값의 합 = kernel_excess + kernel 오프셋(offset)
|
|
|
|
블록 안에서 트랜잭션을 합칠때, _single_ 통합 오프셋(offset)을 블록 헤더에 저장합니다.
|
|
그래서 single 오프셋으로 인해 개별 트랜잭션 kernel offset 을 개별로 분리할 수 없고 트랜잭션 들은 더이상 재구성 될 수 없습니다.
|
|
|
|
출력값의 합 - 입력값의 합 = kernel_excess의 합 + kernel_offset
|
|
|
|
키 `k`를 트랜잭션 구성 중에 `k1+k2` 안에 나누어서 넣었습니다. 트랜잭션 커널인`(k1+k2)*G` 에 대해 excess 인 `k1*G`와 오프셋(offset) 인 `k2`를 보여주고 이전처럼 `k1*G`로 트랜잭션에 sign 합니다.
|
|
|
|
블록을 만드는 동안 블록안의 모든 트랜잭션을 커버하기 위한 한개의 통합 `k` 오프셋을 만들기 위해 `k2`오프셋을 간단히 합할 수 있습니다. `k2`오프셋은 어떤 개별 트랜잭션이 복구되지 못하도록 합니다.
|
|
|
|
#### 컷 스루 (Cut-through)
|
|
|
|
블록들은 채굴자들이 여러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세트에 넣고 체인에 더할수 있게 합니다.
|
|
다음 블록은 3개의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오직 입력과 출력만을 보여줍니다.
|
|
소비한 출력값은 입력값을 참고 합니다. 출력값은 소문자 x로 표시된 이전 블록을 포함합니다.
|
|
|
|
I1(x1) --- O1
|
|
|- O2
|
|
|
|
I2(x2) --- O3
|
|
I3(O2) -|
|
|
|
|
I4(O3) --- O4
|
|
|- O5
|
|
|
|
다음과 같은 두가지 성질을 알려드리자면:
|
|
* 이 블록 안에서는 어떤 출력값은 포함된 입력값을 바로 사용합니다.(I3는 02를 소비하고 I4는 03을 소비합니다.)
|
|
* 실제로 각 트랜잭션의 구조는 문제가 아닙니다. 모든 트랜잭션들의 개개의 합계가 0이듯이 모든 트랜잭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이 0이여야만 합니다.
|
|
|
|
트랜잭션과 비슷하게 블록에서 체크해야 되는 것은 _transaction kernels_ 에서 비롯되는 소유권의 증명과 coinbase 에서 증가하는 코인 외 모든 블록이 돈의 공급을 추가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.
|
|
매칭된 값은 전체의 값을 상쇄하므로 매치되는 입력값과 출력값은 없앨 수 있고 다음과 같이 좀 더 작은 블록이 됩니다.
|
|
|
|
I1(x1) | O1
|
|
I2(x2) | O4
|
|
| O5
|
|
|
|
모든 트랜잭션 구조는 다 제거되었고 입력값과 출력값의 순서는 더이상 중요하지 않습니다.
|
|
그러나 블록에서 입력값을 뺸 모든 출력값의 합은 여전히 0임을 보증합니다.
|
|
|
|
블록은 아래와 간단히 말하자면 아래를 포함합니다.
|
|
|
|
* 블록헤더
|
|
* 컷 스루 이후 남은 입력값의 리스트
|
|
* 컷 스루 이후 남은 출력값의 리스트
|
|
* 모든 블록을 커버하기 위한 단일 kernel offset
|
|
* 트랜잭션 kernel들은 각 트랜잭션에 아래와 같은 것들을 포함합니다.
|
|
* The public key `r*G` obtained from the summation of all the commitments.
|
|
* 모든 커밋들의 합을 포함한 공개키 `r*G`
|
|
* 초과값 (excess value) 을 이용해 생성된 Signature
|
|
* 채굴 수수료
|
|
|
|
이런 방법으로 구조가 만들어진다면 MimbleWimblw 블록은 엄청나게 좋은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* 중간 트랜잭션 ( 컷 스루 트랜잭션) 은 트랜잭션 kernel에서만 표시될것 입니다.
|
|
* 모든 출력값은 똑같이 보일것입니다. 출력값은 다른 것과 구분하기 블가능한 아주 큰 숫자일겁니다. 만약 하나를 다른 출력값에서 제외하려면 모든 출력값을 제외해야 합니다.
|
|
* 모든 트랜잭션 구조는 지워지고 출력값이 각 입력값과 매치된다고 말하기엔 불가능 해집니다.
|
|
|
|
그리고 아직까진 모든게 유효합니다!
|
|
|
|
#### 모두 컷 스루( Cut-through ) 하기
|
|
|
|
이전 예시의 블록으로 돌아가서 출력값인 x1,과 x2는 I1과 I2에 대해서 사용되고 이것은 반드시 이전 블록체인 안에서 나타나야 합니다. 이 블록이 추가된 이후에 I1과 I2 과 출력값들은 전체 합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모든 체인에서 지워 질 수 있습니다.
|
|
|
|
일반화 하자면, 헤더를 제외하고 어떤 시점에서든 체인의 스테이트는 다음과 같은 정보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.
|
|
|
|
|
|
1. 체인안에서 채굴에 의해서 만들어진 코인의 총량
|
|
2. 쓰지 않은 출력값의 모든 세트
|
|
3. 각 트랜잭션의 트랜잭션 kernel
|
|
|
|
첫번째 정보는 Genesis 블록으로부터의 거리인 블록 높이를 가지고 유추 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쓰지 않는 출력값과 트랜잭션 kernel은 매우 작습니다. 이것에는 아래와 같이 2가지 중요한 결과를 가지고 있습니다.
|
|
|
|
* MimbleWimble 블록체인에 있는 노드가 유지해야 되는 스테이트가 매우 작습니다.(비트코인 사이즈의 Blockchain의 경우 수 기가 바이트이고 잠재젹으로 수백 메가바이트까지 최적화 될 수 있습니다.)
|
|
* 새로운 노드가 MimbleWimble 체인에 가입히면, 전달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매우 적습니다.
|
|
|
|
덧붙여서 출력값을 더하거나 제거하더라도 쓰지 않는 출력값의 모든 세트를 조작할 순 없습니다. 그렇게 하면 트랜잭션 kernel 내의 모든 blinding factor의 합과 출력값 내의 blinding factor의 합이 달라집니다.
|
|
|
|
### 결론 내리기
|
|
|
|
이 문서에서는 MimbleWimble 블록체인 안의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.
|
|
타원 곡선 암호의 다른 성질을 사용해서 알아보기 어려우나 적절하게 입증될 수 있는 트랜잭션을 만들수 있습니다. 블록에 이러한 성질들을 일반화 시키면 큰 용량의 블록체인 데이터를 없앨 수 있고 새로운 피어들에게 높은 확장성과 빠른 동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.
|